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337.jpg
KCI등재 학술저널

페미니즘‘들’

Feminism’s’ : The experiences of social transform, risk and communication

  • 796

디지털 공간을 오가며 다양한 형태의 페미니스트 실천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20~30대 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 실천 전략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했다. 폭력 피해나 페미니스트라는 낙인이 초래할 손해 등 ‘위해’에 대한 불안, ‘소통’의 조건 부재는 ‘변화’ 가능성에 대한 우울한 전망을 낳고, 이것이 배제의 논리와 여성들만의 결집, 개인화된 대응 전략을 추동했다. 신자유주의 질서는 반페미니즘의 움직임과 미래 불확실성을 매개로 이 과정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하지만 여성들의 위해에 대한 인식이나 변화를 위한 실천은 사회적 지지나 신뢰의 경험, 이를 가능하게 하는 관계망, 여성학 수업과 페미니즘 동아리 등 제도화된 자원의 존부에 따라 상이했고 또한 재구성되고 있었다. 여성들의 소통 조건, 변화와 위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힘들을 식별하고 개입하는 것이 페미니스트 정치의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iversity of feminist practices that emerge in and out of digital space, through 20s and 30s women’s narratives. The anxiety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or harm caused by stigma against feminist and the absence of condition to communicate lead to the pessimistic prospect of social transform, which drives the strategies for logic of exclusion, solidarity only for women, and individual choices to act. These strategies are reinforced by the anti-feminist activism and precarity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However, perception of women s risks or strategies for changing the reality were different and restructur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s of social support and trust, social network and the existence of institutionalized resources such as courses of women’s studies and students’ associations. Finally, feminist politics remains the task of identifying and intervening forces that influence women s conditions of communication, perceptions of change and harm.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변화’의 구상과 전략: 상이한 현실 진단과 변화 가능성의 경험

Ⅳ. ‘위해’ 가능성에 대한 인식: 폭력 두려움과 불안정한 미래 전망

Ⅴ. ‘소통’의 조건인 ‘논리’와 사회적 관계망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