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VP’/‘V1V2’+(‘了’) 사동구조의 경계성 분석

Boundary Property Analysis of ‘NP1+VP+NP2’/‘NP1+(V1V2)+NP2’ Causative Structure

  • 39

경계성(界性)이란 인류가 객관세계 사물의 경계(Boundary)를 인식하는 한 방식으로 유경계성(有界, boundary)과 무경계성(無界,unboundary)으로 분리된다. 인지적 경험에 근거하여 사물에 대한 ‘경계 설정’이 가능하면 그 사물은 유경계성을 띠고, 이 ‘경계 설정’이 불가능하다면 그 사물은 무경계성을 띤다. 인지언어학자들은 경계성 이론을 언어현상에 응용하여 설명 하기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언어현상의 경계성 이론에 입각하여 중국어 사동문법의 인지적 분석에 응용해 보았다. 특별히 현재 상용되고 있는 다양한 중국어 사동형태 가운데 그 형식상 동일한 유형의 사동구조로 취급되고 있는 ‘NP1+VP+NP2’ 구조와 ‘NP1+VP(‘V1V2’) +NP2’ 즉, 결과보어 사동구조에 착안하여 구조상 존재하는 문법적 차이를 근거로 ‘VP’와 ‘V1V2’가 술어로서 한정짓게 되는 경계성의 차이를 탐구하였다. 아울러 NP2와 了의 수반으로 인해 경계화 짓는 특성 및 자질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인지적 분석으로 접근하였다.

‘Boundedness’ is a way for human beings to recognize objective things in the world. The boundary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opposites: bounded and unbounded. For example, objective things have the opposite of bounded and unbounded in space, and actions also have the opposite of bounded and unbound in the timeline. This parallel opposition in the world is also clearly reflected in the grammatical structure of the language used by human beings. So far, i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modern Chinese has applied the contradiction of boundaries. For example, there are many grammatical and lexical theories that are analyzed and interpreted in terms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research result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nouns, verbs, and adjectives, are also proposed in the form unit. However, there are few professional studies on the opposite aspects of the typological form of the verb. This study, based on the formation of typical lexical impetus and the result complement grammatical differences in the dynamic structure, explores the boundary differences between VP and V1+V2 as predicates.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its subsequent NP2 and 了 . This will broaden the horizons of modern Chinese studies and help readers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modern Chinese.

1. 서론

2. 언어에 반영되는 경계성 현상

1) 동사의 유형과 경계성

2) 활동동사와 사건동사

3. ‘VP’/ ‘V1V2’+(了) 구조의 경계성 요소분석

1) ‘VP’ 사동구조

2) ‘V1V12’ 사동구조

3) ‘了’의 수반에 의한 경계성

(1) ‘VP+了’ 구조의 경계성

(2) ‘V1V2’+“了’ 구조의 경계성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