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의 유출 인구와 유입 인구 특성을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거주 특성 측면에서 규명하고,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 중소도시 인구 정책에 대한 기초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에 타 지역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특성에 대한 분석(ModelⅠ)과 지방 중소도시로 거주지를 이동한 사람들에 대한 분석(ModelⅡ) 을 진행하였다. 핵심 분석 결과, 전문대·대학교 졸업 학력 수준을 가진 사람일수록 지방 중소 도시에서 타 지역으로의 이동확률이 높았다. 가구원 수와 혼인상태의 변화 역시 지방 중소도 시에서 타 지역으로의 이동을 촉진하였으며, 특히, 개인의 혼인상태 변화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 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전문직·사무직 종사자에 비해 농업·기능·장치기 계조작 및 조립직·단순노무직에 종사할수록 지방 중소도시에 잔존하려는 힘이 강하게 나타났 다. 반면, 농업·기능·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직·단순노무직 종사자들이 지방 중소도시로 들어오 려는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산 2분위에 해당되는 사람들의 지방 중소도시로의 유입 확률이 높았으며, 저소득자에 비해 고소득자에 해당할수록 지방 중소도시로의 유입 가능 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outflow and inflow population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Korea.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ways: The first analysis identifies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moved from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o other regions(Model I) and the second analysis identifies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moved t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Model II). Our findings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utflow and inflow populations. ModelⅠ found that the younger and the higher educated people had a higher probability of moving from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o another region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change in marital status were also promoted to move to other regions. On the other hand the agricultural workers and simple labor workers compared with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were more likely to stay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Model II, the probability of moving t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was higher people with a university degree or higher than secondary educated people. Besid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income people were less likely to move t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have average level of financial assets had a higher probability of moving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lso, The probability of moving t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was higher agricultural workers and simple labor workers than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Ⅰ. 서론
Ⅱ. 유출·유입인구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Ⅲ. 지방중소도시 유출·유입인구 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1. 변수 구성 및 분석 방법
2. 지방 중소도시 유출·유입인구 특성 분석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