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의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기반으로 독립 운동 컬렉션에 대한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출처별 분류 체계는 계층별로 구성하였으며 출처별로 분류된 기록물들은 관련 주제어에 따라 2차 분류한 후, 17가지 자료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출처-주제-자료유형’ 의인용 순서로 기술하였다. 또한 주제어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미한 컬렉션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이용자가 기록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립 운동 DB 자료의 기록물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분류 체계로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독립 운동 기록물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of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based on the collection of Gonghun Digital Archive based on sources, subjects, and media types. First,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source is organized by hierarchy, and the records classified by source are classified into the second category based on the related keyword. Then, the records are classified into 17 media types. Finally, it is described in the citation order of “source-subject-media type.” In addition, a meaningful collection using inductive methods based on the subject words is derived. Finally, Gonghun Digital Archive collections are categorized by media types, sources, and subjects so that users can easily find the rec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classification system to support records retrieval of an independent movement collection, and it will become a basis for expanding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and the service of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목차
1. 서 론
2. 독립 운동 기록과 분류 체계
3. 독립 운동 기록 디지털 아카이브 분류 현황
4. 공훈전자사료관 분류 체계 개발
5. 결 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이산가족 찾기 기록 패싯 기반 온톨로지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 국외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 정책 비교 분석
- 기록 평가의 표준화
-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선진 기술 현황 분석 및 적용 방안
- 국내 통합 대통령기록관 및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의 대통령기록물 서비스 현황 연구
-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 제안
- 미술관 기관아카이브의 기록물 수집과 정리에 관한 사례연구
- 정보부존재 해결방안으로서 기록 생산단계 강화방안 연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논문의 연구 주제 분석
- 한국기록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독립 운동 컬렉션 분류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8권 제4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