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소비자의 외식소비성향별 외식선택속성과 고객행동의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erence in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and Intention of Customer Behavior by Consumers’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 489
148373.jpg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면서 외식업체를 이용했던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외식선호성향의 유형별로 나누고 외식선호성향 유형별 외식선택속성 및 고객행동의도의 차이에 대하여 실증적인 검증을 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외식소비성향 집단을 군집으로 묶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5개 외식소비성향 요인의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맛추구형, 건강추구형, 경제가치추구형, 신속편의 추구형, 분위기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외식소비성향 군집과 외식업체 선택속성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식소비성향 군집별에 따른 외식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의 결과에서 5개의 모든 외식선택속성에서 외식소비성향 군집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외식소비성향 군집과 외식소비행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식소비성향 군집에 따른 외식소비행동에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외식소비 성향 군집에 따른 외식소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검증 결과 맛추구형, 경제가치추구형, 건강추구형, 분위기추구형, 신속편의추구형의 순으로 외식소비행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differences in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and intention of customer behaviors by type of consumers’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based on a survey of customers living in the Daegu region who have an experience of dining out. Some of the important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conducted an analysis by grouping people of different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into several clusters. Average values of the five extracted propensities were used for K-average cluster analysis, and the consumers were divided into five clusters: taste-oriented, health-oriented, value-oriented, convenience-oriented, and atmosphere-oriented. Second, we examined whether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varied by different clusters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clusters of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and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clusters for all five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Third, we examined whether dining-out consumption behaviors varied by different clusters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clusters of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and dining-out consumption behavio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clusters in terms of dining-out consumption behaviors. Dining-out consumption behaviors were greater in the order of taste-oriented, value-oriented, health-oriented, atmosphere-oriented, and convenience-oriented clust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