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사회시설과 학교시설의 복합화에 대하여 생활권적 측면, 지역사회학교 측면,리미널(Liminal)공간 측면에서 이론을 정립한 후 사례분석을 통하여 복합화 사업의 관련 요인을 찾아내고 그 중요도 정도를 알아내었다. 관련된 요인 중 첫째로 중요한 요인은 두 시설간의 접근성임을 발견하였고 접근성을 위하여 복합화가 필연적이며 학교부지내의 복합화 또는 학교건물내의 복합화를 이루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두번째 중요한 요인은 시설의 이용률 제고임을 알았고 이를 위하여 물리적으로 시설이 열려있어야 하고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도 이루어져야함을 알았다. 셋째는 복합시 설의 리미널 공간화임을 알았고 물리적, 정신적 리미널 공간의 조성이 필요함을 알았다. 넷째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역량 제고, 다섯째는 경제성의 증진, 여섯째는 문화 및 예ㆍ체능 역량의 증진임을 알았다.
A thesis of the school and community complex in the aspect of residential threshold, community and liminal space is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sis, the elements and their significances related to the work of complex are found through case studies. It is found that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proximity between the school and public buildings in the community. This is followed by the frequencies of the usage of facilities, the liminal space made in the complex, and the raise of the cultural performance. To achieve these factors, the facilities should be opened, with appropriate programs developed.
Ⅰ. 서 론
Ⅱ. 복합화의 이론적 배경 및 현황
1. 복합화의 이론적 배경
2. 학교내에 지역사회시설의 복합화
3. 리미널 공간(Liminal Space)으로의 복합화 시설
4. 복합화 사업의 효과
Ⅲ. 연구 방법
Ⅳ. 사례 분석
1. 선진국의 일반학교 복합화 사례
2. 우리나라 고등학교 이하 일반학교의 복합화 사업
3. 대학시설의 복합화
4. 사례지역의 가설 적용 여부 검토
Ⅴ. 결 어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