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향후의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공간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에서 도시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도심부의 재활성화가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최근 선진국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성장관리기법(urban growth management)의 도입을 통한 도심재생(urban regeneration)을 도모하기 위한 성장관리형 도심재생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 기본 전략 및 계획요소를 추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계획 및 설계수법을 전개하는데 있어, 관(행정)과 민(사업자/주민 등)의 상호협력 체계 속에서 보다 바람직한 시가지 도시환경을 형성해 갈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민관파트너십’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building a concept of growth-oriented City Resuscitation adopting the Urban Growth Management, a system currently under vigorous discussions, for the Urban Regeneration and drawing out the fundamental strategies and planning factors of this system, in light that there is a dominant recognition that it is essential to reinvigorate the center of the city in terms of spacial, structural and functional dimension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addition, pursuing city planning and design strategies focused on city regeneration, this study explored a new type of ‘Partnership between Private-Public Sectors’[government(administration) and citizens (business- men/residents, etc.)] where both parties are allowed to cooperate to foster a more accommodating environment of an urban district.
Ⅰ. 서 론
Ⅱ. 도시재생의 이론적 배경
1. 도시재생의 개념과 중요성
2. 도시재생의 범위 설정
3. 도시재생의 비전, 목표 및 전략
Ⅲ. 국내ㆍ외의 도시재생 사례
1. 국내의 도시재생 사례
2. 외국의 도시재생 사례
Ⅳ. 파트너십을 이용한 도시재생
1. 민관 파트너십의 개념
2. 민간파트너십의 유형
3. 잉글리시 파트너십(English Partnership: EP)
4. 외국의 파트너십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