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가상현실 관광 콘텐츠 경험가치 요인이 노인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eriential Values of Virtual Reality Tourism Content on Decrease of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Focused on Geriatric Hospital Patients

  • 347
148373.jpg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관광 콘텐츠의 경험가치 요인이 노인의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여행을 경험하기 힘들거나 불가능한 요양병원 노인환자 들에게 가상현실 관광 콘텐츠의 경험이 그들의 우울감 감소에 어떤 양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요양병원 노인 환자들의 우울감을 측정하고, HMD를 이용한 가상현실 관광 콘텐츠를 경험하게 한 후. 이후의 우울감을 다시 측정하였다. 설문기간은 2018년 9월부터 10월까지 약 1개월간 대구시내 소재 요양병원에서 시행하였고, 총 212명의 대상자 중, 결측치를 제외한 197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일상탈출 경험가치와 심미적 경험가치는 각 각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우울감 감소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유희적 가치는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우울감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관광 콘텐츠가 요양병원 입소 노인들의 우울감을 개선하는데 실무적 효과를 얻길 바라며, 이후 가상현실 관광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관광학적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factor of virtual reality tourism contents on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To do this study, I first measured the depression level, and after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tourism contents, depression level was measured again.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t a geriatric hospital in Daegu City for about one month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8. Of the total 212 patients, 15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scape experience value and aesthetic experience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depression in geriatric hospital patients. Amusement experiential valu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of elderly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ope that the virtual reality tourism contents will have a practical effect to improve the depression of elderly admitted to geriatric hospital, and that it will be the foundation for carrying out various tourism studies on virtual reality tourism cont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