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415.jpg
KCI등재 학술저널

PISA의 과학에 대한 내적 동기, 자기효능감, 협력적 문제해결력 결과를 통해 본창의교육 10년의 성과와 과제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10 years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PISA Results of internal motivation, self efficacy,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121

창의⋅인성교육을 강조한 지난 10년 동안 창의력 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는 양적으로 증가 하였다. 대부분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 자료는 창의적 문제해결 활동과 함께 내적 동기유 발과 자기효능감,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한다. PISA에서는 2000년부터 학생의 내적 동기와 자기효능감,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와 비교할 수있고 종단자료가 모아진 PISA자료를 사용하여 창의력과 정적 관계를 갖는 내적 동기, 자기효 능감, 협력적 문제해결 요인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한국 학생의 내적 동기, 자기효능감이 2006년보다 2015년에 증가하였는지, 2015년 측정한 내적 동기, 자기효능감, 협력적 문제해결력 (수행과 태도)이 OECD 국가의 평균보다 높은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06년에 비해 2015년 에 내적 동기 및 자기효능감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값은 OECD 국가의 평균보다 대체로 낮았다. 협력적 문제해결의 수행성취도는 OECD 평균보다 높았지만,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는 OECD 평균보다 낮았다. 마지막에 이러한 결과에 관한 논의와 함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e last decade, emphasiz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al materials for creativity education have increased in quantity. Most educational materials for creativity enhancement emphasize creative problem solving activities, internal motivation, self effica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ince 2000, PISA has measured students internal motivation, self effica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sults of internal motivation, self effica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actors that have relationship with creativity using PISA data which can be compared with OECD countries and collected from the longitudinal data. In other words, we examined whether the internal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of Korean students increased in 2015 compared to 2006, and whether internal motivation, self effica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performance and attitude) measured in 2015 were higher than those of OECD countries. As a result, despite the increase in internal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in 2015 compared to 2006, the value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e OECD average. Performa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was higher than average of OECD, but attitude towar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low.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along with discussions on these results.

Ⅰ. 서 론

Ⅱ. 창의성과 PISA

Ⅲ. OECD의 PISA를 통해 본한국 학생의 창의교육 관련변인

Ⅳ.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