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조선 초기부터 국가가 주도하여 세운 종교경관(제사시설)들에서 유래한 종교지명에 주목하였다. 당시에는 국가적 수준에서 향교(문묘), 사직단, 여단, 성황단 등을 모든 군현마다 설치하기를 권장함과 동시에 이들이 세워지는 방위까지 규정하였다. 이들 종교경관이 세워진 장소는 점차 그 장소를 대체하는 종교지명으로 대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1872년 지방지도」로 누락된 군현을 제외한 304개의 군현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향교 및 사직단 지명의 유형은 여단이나 성황단 지명에 비해 전국적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 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지역적 수준에서 종교지명과 읍치 영역성의 관계를 전라도를 사례로 살펴보았다. 전주부의 경우, 중심지에 해당하는 행정경관(감영과 부영 등)의 주변부에 위치한 종교지명(향교, 사직단, 여단, 성황단)들로 인해 읍치의 영역성이 잘 드러난다는 점이 확인된다. 남원부의 경우, 향교의 문묘와 사직단의 배치가 객사 또는 관사를 중심으로 ‘좌묘우사(左廟右社)’라는 유교적 예제에 따른 공간 배치 경향성이 잘 나타난다. 또한 종교지명이 읍치의 마을지명에 영향을 준 사례를 전라도 여러 군현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여단이나 사직단 관련 지명 사례를 전라도 고지도에서는 없었으나, 현재 지형도에서는 광주시 사직동이나 광양시 성황동의 사례들을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noted the religious place-names derived from religious landscapes (religious facilities) established by the state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At that time, it was recommended to install Hyanggyo, Sajikdan, Yeodan and Sunghwangdan at the national level, and at the same time prescribed the direction in which they were built. The place where these religious landscapes were built appears to have gradually been replaced by a religious place-names.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were 304 county prefectures that can be identified in 1872 local map .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type of place-name of the Hyanggyo and Sajikdan had a stronger influence on the national or regional level compared to the place-name of Yeodan or Sunghuangdan . Next, at the local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place-names and spatial range in Eupchi was looked at as an example of Jeolla Province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Jeonju, the spatial range of Eupchi was well revealed by religious place-names ( Hyanggyo, Sajikdan, Yeodan, and Sunghwangsa ) located in the periphery of administrative landscapes ( Gammyeong and Buyeong ) corresponding to the center. In the case of Namwon,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Hyanggyo and Sajikdan is well illustrated by the Confucian architectural ritual of Hyanggyo on the left, Sajikdan on the right(左廟右社). In addition, cases of religious place-names affecting village names in Eupchi were found in various county prefectures in Jeolla Province. Although there have been no cases of place-names of the Yeodan or Sajikdan in the Jeolla provinces, you can find the examples of Sajik-dong in Gwangju or Seonghwang-dong in Gwangyang in the current topographic map.
1. 들어가며
2. 종교 지명의 도별 특성
3. 종교 지명의 유형별 특성
4. 전라도 종교 지명과 읍치의 장소성
5.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