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Exploration on the Process of College Students’ Dropout

대학생의 중도탈락 과정 탐색

  • 102
148405.jpg

이 연구는 대학중도탈락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중도탈락과정을 탐색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과 해석은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고 과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총 39개의 개념과 14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을 통한 패러다임 모형에서, 인과적 조건은‘대학서열에 대한 인식 존재’,‘부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이며‘중도탈락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중심현상이었다. 중심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자기관리가 결여된 대학생활’,‘대학에 대한 기대의 불일치’,‘나를 작게 만드는 대학’으로 나타났다.‘지원학과에 대한 생각과 준비’,‘새로운 경험의 시작, 대학생활’은 중재적 조건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중도탈락에 대한 의견 수렴하기’,‘일상생활에서 벗어나기’를 시도하고 결과에서는‘중도탈락’,‘미래를 위한 선택’을 하였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진로선택하기’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진로를 선택하기 위해 대학 입시준비과정부터 대학 졸업 후 진로를 고려하여 지원학과를 선택하였다. 대학입학 후 대학생활에서도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진로선택에 대한 생각이 내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asons of college students’dropout.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based on grounded theory, presented paradigm model, analyzed the process and derived core categories. Through open-cording, we derived 39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In the paradigm model, firstly, by axis coding, the central phenomena of the causal conditions, which have some results: For example, awareness of college rank,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rries and conflicts about the dropout. Secondly, contextual conditions corresponding to central phenomena which were lack of discipline in university life, discrepancy of expectation in university life, and a university makes me feel small. Thirdly, the arbitration conditions were that consideration for their filed of majors and beginning new experience at the university. Forth,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y are trying to collect opinions for dropout and isolating from everyday life. Meanwhile, they choose two options both dropout and choice for the future. The core categories in select coding that is choosing a career for a better future, in specific, they considered that a career path by choosing their major in school form preparatory stage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o the after graduate.

Ⅰ. 서론

Ⅱ.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