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이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for 3 Years Old 0n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9권 13호
-
2019.071243 - 1264 (22 pages)
-
DOI : 10.22251/jlcci.2019.19.13.1243
- 1,261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중심의 미술활동이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K유치원 만 3세 유아 38명(비교집단19명, 실험집단 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13 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때 실험집단은 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실내중심 미술활동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 전과 후에 놀이성과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현장에서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 증진을 위해 신체의 움직임과 오감을 활용하고 놀이중심, 과정중심으로 진행되는 바깥놀이 중심 미술활동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for 3 years old on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38 3 years old children who attend S and K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 group engaged in an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over 13 weeks, the comparative group engaged in an indoor-based art activities based on Nuri curriculum. The pre-test for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evaluated before applying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showed meaningful changes in total score of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