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차단기 외함 전원측 단자사이의 트래킹에 의한 탄화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Carbonization Properties between RCD Source Terminals Deteriorated by Tracking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17 No.4
- : KCI등재
- 2003.12
- 13 - 19 (7 pages)
본 논문은 누전차단기 외함 전원측 단자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화재 원인에 대한 분석을 연구하였다. 누전차단기는 보호범위의 전기시설물에서 누전 또는 과부하에 의한 차단을 목적으로 한다 누전차단기의 전원측 단자는 트래킹에 의해 화재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누전차단기의 재현실험을 통해 트래킹시료(<TEX>$E_1$</TEX>)와 화재현장에서 트래킹된 것(<TEX>$S_1$</TEX>)을 비교분석하여 전기화재의 원인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은 IEC Publ. 112법을 응용하여 실시하였고 누전차단기에서 미소방전과 건조대가 발생한 후 소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EX>$_1$</TEX>에서 전원측 단자간의 절연저항은 약 25.7Ω이고 <TEX>$S_1$</TEX>의 절연저항은 약 58.6Ω이었다. <TEX>$E_1$</TEX>의 발열피크는 <TEX>$491.0^{\circ}C$</TEX>와 <TEX>$603.2^{\circ}C$</TEX>였다. <TEX>$603.2^{\circ}C$</TEX>에서의 발열피크는 트래킹에 의한 것이다. <TEX>$S_1$</TEX>의 발열피크는 <TEX>$593.1^{\circ}C$</TEX>에서 나타났다. 트래킹에 의해 변화된 시료는 IR 흡수스펙트럼에서 <TEX>$1590 cm^{-1}$</TEX> 에서 흡광피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CD(Residual Current Device) case deteriorated by tracking, and compared the tracked samples between in the site of fire(<TEX>$S_1$</TEX>) and in the reappearance experiment(<TEX>$E_1$</TEX>). This experiment is applied to IEC Publ. 112 method. Electrical fire by tracking occurred after scintillation and dry-band generated. The insulation resistance between source terminals of RCD case was about 25.7Ω in <TEX>$E_1$</TEX> and the resistance was about 58.6Ω in <TEX>$S_1$</TEX>.The exothermic peaks of <TEX>$E_1$</TEX> appeared at <TEX>$491.0^{\circ}C$</TEX> and <TEX>$603.2^{\circ}C$</TEX>. The exothermic peak at <TEX>$603.2^{\circ}C$</TEX> was shown by tracking. And the exothermic peak of <TEX>$S_1$</TEX> appeared at <TEX>$593.1^{\circ}C$</TEX>. In spectrum of <TEX>$S_1$</TEX> and <TEX>$E_1$</TEX>, absorption peak didn't appear at near 1590 cm<TEX>$^{-1}$</TE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