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가꾸기 산물의 적재형태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Accumulation Types of the Leaving of Thinning Slash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22 No.1
- : KCI등재
- 2008.03
- 45 - 53 (9 pages)
본 논문은 숲가꾸기 산물인 간벌목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즉, 간벌목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강원도 양양군과 인제군, 경기도 가평군의 숲가꾸기 실행지와 미실행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 조사대상지에 대하여 수종, 입지특성, 간벌강도, 숲가꾸기 종류, 간벌재의 적재행태 및 산불위험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지인 양양군 5개소, 가평군 4개소, 인제군 5개소 총 14개 조사구에 대하여 숲가꾸기 실행지 9개소, 미실행지 5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숲가꾸기 미실행지 5개소는 숲가꾸기 실행지와 인접한 조사지역을 선정하였고, 숲가꾸기 실행지와의 산불위험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숲가꾸기 실행지의 산물인 간벌목의 적재높이는 1 m 미만으로 적재되어 있어 산불연소시 수관부로 전파될 위험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적재된 간벌목과 임목간의 거리가 거의 붙어 있어 적재된 간벌목에 산불이 붙을 경우 임목 줄기부(수간)에 직접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적재된 간벌목이 많이 쌓여 있을 경우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effect of thinned trees which are produced from forest thinning on forest fire was studied in this work.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nning slash, Yang-yang, In-je, and Ga-pyeong-gun were selected as thinning-areas and non-thinning area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variations of tree's types, area's characteristics, thinning strength, thinning types, and pile types of thinned tree. The survey areas of 14 areas were selected at Yangyang-gun(5 areas), Gapyeong-gun(4 areas), and Inje-gun(5 areas), and on-the-spot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at the thinning areas of 9 and the non-thinning areas of 5, respectively. Non-thinning areas of 5, which are adjacent to thinning areas,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with thinning areas and for the analysis of risk of forest fire. It is considered that forest fire have no chance to diffuse to a tree trunk because the height of thinned trees was lower than 1 m.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forest fire may affect directly to a tree trunk if it spread to piled thinned tree because there was no space between thinned trees and tre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re-ignition had a chance to occur due to lots of piled thinning t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