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적외선 히터에서 출화된 화재의 원인분석
Cause Analysis Ignited at a Far Infrared Radiation Heater
- 김동욱(Kim, Dong-Ook) 최충석(Choi, Chung-Seog)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22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8.06
- 91 - 96 (6 pages)
본 연구에서는 화재사례를 기반으로 원적외선 히터에서 출화된 화재의 원인 분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전기히터의 화재는 열선에 용융 흔적으로 판단하여 과열 사고로 취급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이에 대해 히터의 화재 원인 규명에 있어서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상 제품과 비교하여 다양한 재현 실험 및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화재 원인을 분석하였다. 열선에 부착된 용융 흔적은 다른 금속 물질에 의한 층간 단락의 형태를 보이나 SEM/EDX로 성분분포를 분석한 결과 철-크롬-알루미늄이 혼합된 열선의 성분이외에 다른 금속 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층간단락 및 과전압에 의한 과열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정상보다 높은 발열 상태를 보이나 화재 가능성은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원적외선 히터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 분석을 토대로 하여 소손된 전열기의 화염 특성 및 물리 화학적 특성을 입체 분석하여 전기재해 원인 분석의 과학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studied about the cause analysis of fire that was occurred in far infrared rays heater to base on the fire examples. Fire of electric heater was apt to commit error that handled an over-heating accident by judged molten mark in heat ray. Molten mark which was attached in heat ray was appeared to the form of layer short circuit by other metal material, but other metal material was not found beside the ingredient of heat wire which was mixed to an alloy of Fe-Cr-Al according to result of ingredient distribution by SEM/EDX. Also, the result of overheating experiment by layer short circuit and overvoltage showed higher febrility than normal, but there was no possibility of fire occurrence. This paper will be contributed to science for cause analysis of electric fire through analyzing physical, chemical and flame features of burnout heater on the basis of diagnosis of fire that was happened in infrared rays he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