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S를 이용한 대규모 건축물 화재 시뮬레이션의 격자크기 선정
Selection of Grid Size in Fire Simulation for Large Scale Buildings by Using FDS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26 No.5
- : KCI등재
- 2012.10
- 67 - 72 (6 pages)
대규모 건축물의 화재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FDS의 적정 격자크기를 제시하기 위해 3개의 개구부가 있는 <TEX>$20{\times}10{\times}3m^3$</TEX> 크기의 실과 <TEX>$44{\times}48{\times}10m^3$</TEX> 크기의 클린룸에 대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z방향 격자크기를 0.2 m로 고정하고 x, y방향의 격자크기 0.1~1.0 m(종횡비 0.5~5.0)에 대한 온도와 가시거리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x, y방향 적정 격자크기는 0.5 m(종횡비 2.5) 이내이며, 1.0 m의 경우에는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가시거리 등의 변동으로 인해 유효피난시간의 산정에 주의가 요구되고, 불가피하게 큰 격자를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는 격자크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더 큰 격자를 사용하기 위해 격자의 종횡비에 관한 추가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Fire simulation was carried out for an enclosure with three doorways of <TEX>$20{\times}10{\times}3m^3$</TEX> and a cleanroom of <TEX>$44{\times}48{\times}10m^3$</TEX>, to suggest appropriate grid size in fire simulations by using of FDS for large scale buildings. The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visibility with time were compared for the x and y direction grid sizes of 0.1~1.0 m (aspect ratios 0.5~5.0), fixing the z direction grid size 0.2 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id sizes 0.5 m (aspect ratio 2.5) or smaller are appropriate among the grid sizes tested, whereas 1.0 m is not acceptable. It was confirmed that estimate of the available safe egress time requires a great care due to fluctuations in temperature, visibility, etc., and further investigations on the grid size when selecting a large grid size inevitable, and on the aspect ratios for a larger grid are in n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