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방화문의 누설틈새 계산 및 연돌효과 분석

The Leakage Crack Calculation of the Fire Door and the Stack Effect Analysis

  • 2

건축의 환경이 변하면 그에 따른 설계기준도 변하여야 한다. 방화문의 시험기준이 2005년 7월 27일 차연성 시험이 적용되면서 문틈이 기밀한 구조로 바뀌었다. 그러나 국가화재안전기준은 영국의 자료를 인용한 과거의 문틈규정을 적용함으로서 현실과 설계 규정의 차이가 오차나 안전율 이상으로 과도하다. 설계와 현실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결과 및 현상을 분석하고 개정되어야 할 국가화재안전기준의 누설틈새면적 계산법을 제시하고 연돌효과로 인한 방연풍속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생활패턴 및 피난패턴을 반영한 공동주택의 방연풍속 측정법에 대해 고찰하고 합리적인 측정법을 제시하였다.

The architecture environment has changed. The corresponding design criteria should be changed. From July 27th, 2005 the Korea Standard of the fire door changed concerning the smoke resistance test which made the door gap structure more elaborate. However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s are applied by the old data's of England. Which in case differs in the actual construction to the blue print, making the safety standard too excessive. Analyze the results and the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 and reality.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s should be revised to leakage crack calculation is presented. Difference of the air flow for the smoke protection due to the stack effect analyzed. Living patterns and evacuation patterns of the apartment reflect and reasonable air flow measurement method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