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용 고층건물 계단실의 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Vertical Evacuation Speed in Stairwell of a High-rise Office Building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29 No.3
-
2015.0613 - 20 (8 pages)
- 이용수 31
초록
초고층 건축물의 수직성 증가는 더 긴 최소피난시간(Required Safety Egress Time, RSET)을 요구하게 된다. 초고층건물에선 계단을 통한 수직이동이 피난경로 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물에서 반복된 3번의 대피훈련을 시행하고, 영상분석을 통해 피난경로 선택의 변화와 계단실 내 수직 보행속도-밀도의 함수관계를 분석했다. 또한 Pathfinder 피난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단계적 피난의 방법에 따른 총 피난시간의 변화와 실제 훈련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복적 피난훈련과 교육을 통해 특정 계단 이용률이 6.3%에서 39.5% 개선되었고, 각 피난경로별 피난시간도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계단실 내 수직 보행속도-밀도의 관계식이 기존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s = 1.004 ? 0.288D로 확인되었다. 단계적 피난의 방법에 따라 전층 동시피난에 비해 총 피난시간이 25% 이상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building height is increased, more careful decisions about the required safe egress time is needed for evacu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ree training sessions on the vertical speed of evacuation in the high rise building. Evacuation experiments were done in a high-rise office building in Seoul, and we analyzed the vertical evacuation speed as a function of density using a camera. Controlled and uncontrolled total evacuation were compared using the Pathfinder simulation. The process of repeated training, changed the specific stair utilization rate from 6.3% to 39.5%. The vertical evacuation speed as a function of density was analyzed using the equation s = 1.004 ? 0.288D,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equation used in a different study. The total evacuation time of the special controlled total evacuation was reduced by about 25% compared to the simultaneous evacuation.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논문철회]미터링 벤츄리를 이용한 포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성능개선
- 옥내소화전 방수구에 부착되는 감압오리피스의 감압성능에 관한 연구
- 소방자동차 노후화에 따른 고장 발생원인 추적조사 연구
- 화목보일러 화재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스프링클러설비용 CPVC관과 신축배관 접속부분에서의 누수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
- 소방전원계통의 전원용량과 간선의 전압강하에 대한 문제점 분석
- 인화성 혼합유의 구획 화재에 의한 화염의 전파 속도 및 특성 해석
- 미분무수 분사의 제연효과
- 업무용 고층건물 계단실의 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 근접성이 불리한 대학 기숙사의 학생 의용소방대 도입에 관한 연구
- 목분의 밀도변화에 따른 온도전이에 관한 실험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