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내화뿜칠재 보와 기둥의 내화성능 분리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eparate Evaluations of Fire Resistance of SFRM for Steel Beams and Columns

강구조용 내화뿜칠재는 내화구조로 인정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는데 내화뿜칠재 인정시 보와 기둥이 분리되어 평가 및 인정되고 있다. 보와 기둥의 내화시험 표준시험체는 단면형상계수 등이 상이하므로 내화피복 두께산정방법(KS F 2848)에 따르면 동일피복재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성능의 보용 뿜칠재와 기둥용 뿜칠재는 피복두께가 상이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인정이 유효한 내화뿜칠재의 보 기둥 피복두께는 제품별로 서로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다. 그렇다면 동 뿜칠재의 내화구조 인정을 위한 성능시험시 보와 기둥의 강재평균온도에 차이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용 또는 기둥용 내화뿜칠재의 강재평균온도를 비교분석하여, 보용 기둥용으로 분리하여 평가 및 인정하고 있는 현 제도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It is necessary to obtain a fire resistance certification in order to use SFRM in Korea. The fire resistance tests for certifications are performed separately for beams and columns and the certifications are different. We could assume that the same SFRM has different thicknesses for beams and columns because the conditions of the fire resistance tests for them differ in the section factors etc. But most of the SFRMs in Korea have the same thicknesses for beams and columns. So the question arises as to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e test results for beams and columns res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eparate evaluation of the fire resistance of member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mperature data obtained from fire certification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