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현장 방출시험 방법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On-site Discharge Testing for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ing Systems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질식소화가 주된 소화작용이므로 제한된 시간 내에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방호구역의 산소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유지시키는 능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국내에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국민안전처 고시에 따라 인증된 설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화설비를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소화설비가 설치된 방호구역의 기하학적 구조는 성능인증 단계의 모의실험장치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설계프로그램 적용 범위를 벗어난 소화설비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저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배관 내 유동현상에 따라 소화약제 방출량이 변하므로 소화설비 설치 후에 현장 방출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국내 외 기술기준에는 방출시험에 대한 방법론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기술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방출시험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장 방출시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Carbon dioxide principally extinguishes fires by smothering, but an acceptable amount of extinguishing agent is needed. To assure the performance of carbon dioxide systems in Korea, computer programs certified by NEMA are being applied in system design. But the design errors can occur because the geometry of a model test facility is not the same as that of the actual fire area. Since the discharge rate tends to vary considerably with the flow pattern in a pipe, an on-site discharge test is necessary to ensur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especially with low pressure carbon dioxide. Technical standards for carbon dioxide systems do not give detailed guidelines for discharge tests at present.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standards and practical test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for on-site discharge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