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구급서비스의 시간 분석
Analysis of the Time Intervals in 119 Ambulance Services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30 No.4
- : KCI등재
- 2016.08
- 128 - 134 (7 pages)
구급서비스의 소요 시간, 특히 반응시간은 생존 확률을 향상시키고 후유 장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구급서비스의 품질 관리를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동안 <TEX>${\bigcirc}{\bigcirc}$</TEX>시의 신고 접수, 출동, 구급활동 자료를 이용해 환자 특성, 주증상 등을 고려한 구급서비스의 시간(time interval)을 분석하였다. 구급서비스의 시간에 대한 정의를 세분화하고 각각의 소요 시간에 미치는 다양한 경제사회적 요인이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구급서비스의 품질은 크게 제고될 것으로 기대 된다.
The ambulance service time interval, in particular the response time,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quality control of ambulance services in that it can be improv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rvival and decrease the sequela-related disability. Based on the 2011~2014 Prehospital Care Reports in a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analyzed the time interval of ambulance services considering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chief complaints. If the definition of the time of ambulance services can be refined further, and a variety of economic and social factors and local characteristics would can be analyzed, the quality of the ambulance service is expected to be enhanced signific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