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482.jpg
KCI등재 학술저널

Exploring Village Leve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마을 단위에서의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관한 지속가능발전목표 실천력 제고 방안 : 대한민국 새마을부녀회 사례를 중심으로

  • 76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중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관하여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실천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1970년대 한국의 새마을부녀회 활동을 분석하여 접근한다. 연구의 중요성: 새천년개발목표(MDGs) 이후 UN이 새롭게 선언한 지속가능발전목표는 구체적인 실천방안과 관련한 논의 부족 등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 의 실천방안을 마을단위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마을은 가족과 공공부문의 접점을 이루는 공간단위로 개인의 이익과 공공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실천현장이다. 이러한 논의는 국가 및 개인의 차원을 뛰어 넘어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실천력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1970년대 대한민국의 농촌지역에서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기여한 마을단위 운동인 새마을부녀회 활동사례를 중심으로 접근한다.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에 기반하여 3개 마을의 새마을부녀회 회장 성공수기를 분석하고 새로운 제도가 형성되는 과정을 통하여 남녀평등과 여성 역량증진 과정을 검토한다. 연구결과: 대한민국정부가 설계하고 지원했던 마을단위에서 주민주도형 새마을운동의 일환인 새마을부녀회 활동은 전통적으로 가사일에 국한되었던 여성의 역할을 마을 공공의 활동으로 전환하는 토대를 마련하여 농촌지 역에서 남녀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공헌하였다. 특히, 새마을부녀회는 주민들의 일상생활터전인 마을 단위에서 공공재 생산활동에 참여하면서 공공정책의 실천력을 제고하였다. 또한, 마을단위에서 새마을부녀회 회원들의 활동은 당시 공공영역에 참여하는 여성들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관점을 타파하는데 기여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사례연구는 대한민국의 새마을부녀회 활동이 주민들의 일상 생활터전인 마을 단위에서 새로운 정책 및 제도형성과 상호작용하면서 종래의 관습과 전통을 극복하고,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기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 실천방안이 공익과 사익이 접점을 이루는 주민들의 기초생활 터전인 마을단위에서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종래 선진국 사례를 일방적으로 따라하는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 실천방안이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일상생활방식과 공간활용방식을 고려하여 접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일상생활 공간은 그들 전통과 관습이 만들어진 터전이라서 문제와 이의 해결방안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village leve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Originality: The originality of this paper is to fill the literature and practice gaps on discussing how to implement the SDGs, by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and importance of village level. Methodology: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is paper incorporates both case study and the analysis of archival materials. The novelty of this methodology comes from interpreting the archival materials, written memoirs of female Saemaul Women’s Association leaders from three different villages. Result: Saemaul Women’s Association, a government-initiated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for Koreas’ rural areas,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Through the activities of Saemaul Women’s Association, women have begun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activities at the village level, departing away from their previously-confined space, household.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is historical case study of Saemaul Women’s Association raises village level as the unit of implementation for the SDG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Adopting village level enables women on the ground to voice their opinions and empower themselves. So far, dominantly, the approach to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as been one-sided from developed countries to developing countries, resulting in the neglect of diverse and heterogenous contexts across countries of different development level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dopting village level, stresses the context diversity could be a significant driver of developmen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Saemaul Undong Approach

Ⅳ. Methodology

Ⅴ. Findings

Ⅵ. Conclusion and Implication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