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448.jpg
KCI등재 학술저널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을 활용한 PBL모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49

출처가 다양하고 양적으로 방대한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할 교육 모형은 PBL모형으로 다양한 기록물을 제시하고 기록관의 활용을 유도하기에 적합하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PBL의 기본 형태를 따르되 단계를 다시 이분화하여 수업이전단계와 수업구현단계로 나누고 수업이전단계를 세분화하여 제안하였다. 제시될 기록물은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구성되는 격자형 기록물지도를 사용하여 기록물 목록을 확보한 후 기록물을 선별하도록 한다. 본 교육 프로그램의 실현은 기록관 이용의 활성화와 기록물 활용의 확장, 학습자들의 역사의식 고취 등의 기대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주제기록물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제안이라는 점과 학습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records and archives of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which are large in number and have diverse provenance. The PBL model, which is a basic model for this program, is appropriate for suggesting a number of records and inducing the use of archives. This program is based on the rule of PBL but is divided into two parts: a pre-class level and an in-class level. The archives list for this program is selected from the archives map, which consists of a horizontal axis of provenance and a vertical axis of creation time.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program is to vitalize and expand the use of archives and to inspire a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proposing a proposed education program using the records and archives of a historical event and the probability to use in a real clas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5.18기록물 기록정보콘텐츠 현황 분석

4. PBL 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5. 프로그램 구현

6.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