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려산 숯일소리는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신감리 마을 일대에서 전승된 숯일노래로, 일제강점기를 거쳐 1970년대까지 불러온 노동요이다. 현재 광려산의 숯일은 사라졌지만, 숯일에 종사했던 박치동(1933~)과 이인규(1935~ 2014)의 고증을 통해 숯일소리가 복원되었다. 복원된 소리는 일의 순서에 따라 ①숯굴터 다지는 소리(망깨소리), ②나무를 베러가면서 부르는 소리(나무꾼소리 1), ③나무를 짊어지고 내려오면서 부르는 소리(어산영, 어뚜구야 소리), ④나무를 지고 내려오다가 쉬면서 부르는 소리(나무꾼소리 2), ⑤목도 옮기는 소리, ⑥숯굴등 치는 소리, ⑦숯굴 고루는 소리, ⑧숯굴불매소리, ⑨숯굿소리, ⑩숯풍년소리 등 총 10곡으로 구성된다. 10곡의 숯일소리 중 나무꾼소리 2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메나리토리가 근간을 이루며, 이외 특징적으로 숯굴불매소 리와 숯굿소리에서는 육자배기토리의 특징이 조금씩 나타난다. 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아랫녁수륙재의 범패선 율에서도 드러나는 특징이다. 이와 같이 메나리토리가 근간 속에 육자배기토리의 영향이 미세하게나마 들어있는 점은 마산 내서지역 민요의 중요한 음악적 특징이다.
Charcoal work songs of Mt. Gwangryeo are a genre of work songs that were inherited in the area of Masan of Changwon city. At present, the charcoal work songs of Mt. Gwangryeo have disappeared, but the songs of charcoal were restored through the endeavors of Park Chi-dong (1933~) and Lee In-gyu (1935~2014) who were engaged in charcoal work. The restored sounds are sor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work, consisting of 10 songs in total: ① the song of a charcoal fireball ② the song of a woodblocker-1 ③ the song of a wood bucket ④ the song of a woodblocker-2 ⑤ the song of moving a tree ⑥ the song of hitting a charcoal fireball ⑦ the song of a flattening the charcoal ⑧ the song of burning charcoal ⑨ the song of a charcoal Shaman Ritual ⑩ charcoal harvest song. All of the ten songs of charcoal work songs, except for the two songs of the woodblocker, form the basis of the Menari-tori. In addition, the song of the burning charcoal and the song of charcoalritual are characteristic of Yukjabaegi-tori. This characteristic is also revealed in beompae meloday of the landing material at the bottom which is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7. In other words, it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local folk song in Masan that Menari-tori is the foundation, but the effect of the Yukjabaegi-tori is very small.
Ⅰ . 머리말
Ⅱ . 광려산 숯일소리의 역사성과 전승경로
Ⅲ . 숯일소리의 선율 분석
Ⅳ .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