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서양음악에서 정의된 관계조가 전통음악인 산조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평균 율음악이 아닌 산조에 관계조를 적용하기 위해 오선보로 채보된 악보를 기준으로 평균율음악인 것처럼 판단 하에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박범훈류 피리산조, 지영희류 해금산조, 원장현류 대금산조, 박종선류 아쟁산조, 강태홍류가 야금산조, 서용석류 산조합주를 선택하였다. 먼저 관계조의 범위를 딸림조, 버금딸림조, 같은으뜸음조, 나란한조, 딸림 조의 나란한조, 버금딸림조의 나란한조 등 여섯 가지로 정하고 각 산조의 선법들을 장조 또는 단조로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전체에서 나타난 77회의 전조 중 73회에 걸쳐 관계조로 전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순서대로 나열하면 나란한조(31.5%), 같은으뜸음조(19.2%), 딸림조(16.4%), 버금딸림조의 나란한조와 버금 딸림조(각 15.1%), 딸림조의 나란한조(2.7%)로 나타났다. 나란한조가 가장 많이 나타난 이유는 구성음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관계로 연주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결과는 한 옥타브 내에서 12반음을 자연스럽게 연주하기 어려운 전통악기의 특징이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많은 공통음을 가지는 관계조로 전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로 산조를 창작 할 때 관계조의 범위 안에서 가락을 구성하면 매우 효율적으로 창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related keys defined in Western music being used in traditional sanjo mus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lcude Park Beom-hun s piri sanjo, Ji Yeong-hui s haegeum sanjo, Won Jang-hyeon’s daegeum sanjo, Park Jong-sun’s ajaeng sanjo, Kang Tae-hong’s gayageum sanjo and the sanjo ensemble of Seo Yong-seok. In this study, the range of related keys was set in six categories: dominant mode, subdominant mode, dominant parallel mode, subdominant parallel mode, parallel mode, and same keynote mode. In addition, criteria for dividing sanjo’s mode into major or minor were utilized. As a result, 73 out of 77 modulations have changed to related keys. The most common order listed is parallel mode (31.5%), same keynote mode (19.2%), dominant mode (16.4%), subdominant parallel mode and subdominant mode (15.1% each), and dominant parallel mode (2.7%). The reason why parallel mode is the most common is that it can greatly reduce the difficulty of playing with related keys that perfectly match the configuration tone. The results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instruments make it difficult to naturally play 12 half tones within an octave. Therefore, modulating to a related keys that share many notes is most efficie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anjo was very efficient by making it within the range of the related keys.
Ⅰ . 머리말
Ⅱ . 관계조
Ⅲ . 산조에 나타난 관계조 분석
Ⅳ .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