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진로성숙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후기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A Longitudinal Study on Vocational Maturity Development using Growth Mixture Model: From Late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 1,588
148547.jpg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후 4년이 지난 시점까지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진로성숙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후기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서 초기값이 가장 높고 작은 변화율로 성장하는 집단, 초기값은 중간이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집단, 초기값이 가장 낮고 큰 변화율로 성장하는 집단으로 세 개의 잠재계층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잠재계층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정배경, 개인 특성 및 경험, 진로계획, 고교 특성 및 경험, 진로활동 영역의 다양한 배경변수의 계층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개인특성 및 경험 변수 중 성별과 자아개념, 교사관계 변수가, 진로계획 영역에서는 교육포부, 고교특성 및 경험에서는 동아리 활동, 진로활동과 관련해서는 고등학교 재학 중 진로와 직업 교과를 이수했는지 여부가 응답자의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ocational maturity development from second grade of high school to four years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by applying growth mixture model. Results from analyzing 5th-, 7th-, 9th-wave data collected by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2005) suggested that three latent classes were found: class with high initial status and small positive slope, class with medium initial status and insignificant slope, and class with low initial status and large positive slope. Additionally, in order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latent classes, differences in variables related to family background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career plan, high schoo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and career-related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Variables including gender, self-concept, and relation with teachers, aspiration for education, club involvement while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whether the subject took career and vocation class while attending high school were found to affect classification of subjects into latent class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