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Problems of the Public Records Appraisal System Based on the Value of ‘Business Transaction’ and Application of a Multi-appraisal Model
- 이용수 105

초록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정부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단위과제 기반 기록물 평가의 문제점을 조사ㆍ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리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집단 면담 및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해당 기관 홈페이지에 고시된 기록관리기준표 조사를 병행함으로써 단위과제 기반의 평가방식이 기록의 보존기간 책정에 어떻게 적용되고 어떤 문제가 있으며, 문제 유형별 원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문제 유형별 개선방안과 함께 단위과제 기반 평가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다중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roblems of the record appraisal system based on value of “Business Transaction (Danwi-gwaje) and suggest a way to solve the problems in Korean government agencies. This study begins with analyzing the many negative cases of creating wrong “Business Transaction profiles and making discordances between value of records and value of transaction, through data mainly from focused group interviews of six record professionals i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It concludes with suggesting a new records appraisal model that assigns the retention periods to multiple entitie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ecord appraisal system.
목차
1. 서론
2. 우리나라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현황
3. 단위과제 기반의 기록물 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4. 개선방안 및 다중 평가 모형의 제안
5. 맺음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전자의무기록 관리시스템 관련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들에 대한 의무기록 관리자의 중요도 평가 연구
-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국내 기록정보서비스 연구의 동향 분석
- 기록관리의 역사에 관한 국내의 연구 동향
-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개체기반 온톨로지 검색시스템 설계 및 평가
-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록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민간ㆍ공동체 아카이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정보 공유 방향 연구
- 소송기록의 사안파일 특성 연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목차
- 조선 개항장의 감리서(監理署)와 기록
-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다중지능이론 기반의 교육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