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해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Nudge) 디자인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참여미술과 공동체의식에 대한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개념과 특성 및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미술을 통한 사회참여’ 단원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참여미술로서의 넛지(Nudge) 디자인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 하였고, 수업 주제는 ‘아름다운 우리 학교 문화 만들기’ 프로젝트이며 단일집단에 총 6차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공동체의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정진경(1999)이 개발한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지를 사용하여 수업 사전ㆍ사후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공동체의식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여 검사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활동지를 바탕으로 작품 결과물과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여 공동체의식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 참여미술로서의 넛지(Nudge) 디자인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 향상에 유의미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공동체의식의 하위 영역 중 ‘친밀성과 소속감’ , ‘조화와 단결’, ‘자발적 참여 의사표현’, ‘자율성과 공공의식’ 순으로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참여미술이 순수미술의 영역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영역까지 확장되어 다양한 맥락 안에서 활용되고 사회참여미술이 교육적 실천으로서 널리 인식되고 다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Nudge design class program as Social Engaged Art(SEA) to foster Sense of Community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based on the theories from previous studies on Social Engaged Art and Sense of Community, the researcher myself examine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s of SEA and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 analyzed high school art textbook focusing on the ʻsocial engagement through artʼ unit.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et an instruction with the theme of ʻMaking beautiful our school cultureʼ project. The program was conducted 6 times targeting 24 students at I High School in a city of Incheon. In a bi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sense of community of the students, the before examination and the after examination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ense of community examination sheet. The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were ver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atching sample t-test by using the SPSS Ver 21.0.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work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were analyzed and the effects of the sense of community was derived comprehensively. I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Nudge design class as a social engaged art was significant for improv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 hope that the design as a social engaged art will be used as a variety of educational practice cas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mong learn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