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제 중앙행정기관 뿐 아니라 기초자치단체에도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이 다수 채용되어 체계적인 기록관리의 형태를 갖추어 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을 대상으로 한 기록관리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채용이 많이 이루어졌던 서울ㆍ경기ㆍ인천 등 수도권에 소재한 기초자치단체기록관 중 11곳에서 2009년 9~10월 사이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과 심층면담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제도적 측면, 운영 관련 및 기록정보 서비스 관련 분야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이들 각각의 분야에 대해 개선 방안을 찾아보고 제시하였다.
Currently, not only central governmental agencies, but also local government started to hir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and the records management became more systematic.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government s records management. Among the local governments records management offices of in metropolitan area, i.e. Seoul, Gyonggi and Incheon where they hired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11 professionals were interviewe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09. Based on the interview,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local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offices were identified in the areas of system related, administration related, and information service relate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were proposed on those areas.
목차
1. 서론
2.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 현황
3.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 개선 방안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웹 아카이빙 인터페이스 유형 및 특성 분석
- 기록경영시스템(MSR) 표준 제정에 대비한 기록관리의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RSS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의 실행 적합성 평가
-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기술요소 비교 연구
-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기능요소 연구
- 다중 개체 모형을 적용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사례분석
-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 한국기록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Feature Analysis of Metadata Schemas for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from the Viewpoint of Records Life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