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현재 국제표준화기구(ISO)의 TC46/SC11에서 제정을 준비하고 있는 기록경영시스템(MSR) 표준의 개념과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우리나라 기록관리 분야에 대한 시사점과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MSR은 ISO 9001과 같은 경영시스템 형식으로 제정되며, 실무지침의 내용은 ISO 15489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록관리가 조직의 경영과 정책, 시스템 구축 전략과 결합되도록 해 준다. 중앙 행정기관 중심으로 진행되는 현행 우리나라 기록관리 제도의 한계점과 최근 제기된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논란에 대해 MSR은 적절한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concepts and main ideas of the ‘Management System for Records(MSR) standards which is being prepared by ISO(TC46/SC11) are explained. And the implications and prospects of MSR standards a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records management practice in Korea. The MSR has the same frame with the ISO 9001(QA system) and its main procedures are consistent with ISO 15489. Its methodology of record management can help organizations to integrate their records management with their own management and system development strategies. The MSR can provide good solutions to improve the national archiving policy and to solve the current argument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record managers.
목차
1. 서론
2. MSR의 제정 배경 및 주요 내용
3. MSR 체계의 특성과 시사점
4. MSR의 적용과 기록관리학의 발전과제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웹 아카이빙 인터페이스 유형 및 특성 분석
- 기록경영시스템(MSR) 표준 제정에 대비한 기록관리의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RSS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의 실행 적합성 평가
-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기술요소 비교 연구
-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기능요소 연구
- 다중 개체 모형을 적용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사례분석
-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 한국기록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Feature Analysis of Metadata Schemas for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from the Viewpoint of Records Life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