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534.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정부기록보존소의 역사기록물 공개에 관한 검토

A Study on the Access in the Govemment Archives & Records Service of Korea

  • 24

이 글은 정부기록보존소에 보존되어 있는 역사기록물의 공개에 관한 법과 제도, 운영상의 미비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세계 각국의 기록보존소는 역사기록물의 공개원칙과 재분류를 위한 세부적인 기준을 세워 역사기록물이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99년 기록물관리법이 제정됨에 따라 역사기록물의 공개와 관련한 의무와 권한은 대체로 기록관리기관으로 넘어왔지만 그것을 완수하기 위한 기톨과 근거는 아직 정비하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와 같은 미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공개법과 기록물관리법을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정비. 보완하여야 한다. 첫째, 정보공개법에는 기록보존소로 이관된 기록물 중 생산한지 30년이 지난 기록물의 공개여부는 기록물관리법에 따른다. 는 위임 규정을, 기록관리법에는 재분류에 관한 원칙과 기준을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용기록물과 역사기록물은 성격이 다른 만큼, 공개문제도 각각의 법에서 규정하는것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둘째,기록물관리법에 생산한지 30년이 지난 기록물은 공개를 원칙으로 함 을 제시한다. 셋째, 기록물관리법에 생산한지 30년이 지난 기록물의 비공개는 별도의 절차없이 자동적으로 일괄 해제한다.다만, 국가기밀이나 개인정보를 포함한 기록물은 비공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음 을 제시한다. 이로써 기록물 공개와 기록물 보호 사이의 균형을 획득한다. 넷째, 국가기밀.개인정보 기록물 등 예외를 인정한 기록물은 정보의 유형별로 기록물을 세분하고 각각의 공개시기를 구체적으로 지정한다. 비공개 해제를 위한 유형별 세부 기준이 명시되지 않으면 공개재분유가 여전히 주관적이고 일관성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섯째, 기록보존소에 이관된 생산한지 30년이 안된 비공개 기록물은 공개요청이 있을 때 생산기관의 의견을 물어서 기록보존소가 공개할 수 있다 는 방향에서 정비할 필요가 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