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662.jpg
학술저널

묵시 12장의 나타난 선악의 담론적 구조 - 여인과 용의 형상 규모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The Discursive Structure of Good and Evil Situated in Rev 12 - The Semiotic Analysis for the Figurative Grandeur of Woman and Dragon

  • 55

본고는 묵시 12장의 여인과 용의 형상이 드러내는 담론적 구성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여인은 악의 세력인 용과의 대립 구도에서 묘사되는 것이 아니라 악의 세력 안에 살아가는 그리스도교 신앙인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형상으로 소개된다. 여인과 ‘다른 기호’로서, 그러나 여인의 형상에 종속되어 묘사되는 용의 담론적 구성 역시 선에 대립하는 악의 세력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1세기 말엽 사회-정치적 박해 속에 살아가는 신앙인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되새기는 하나의 필요조건이자 작업장으로서의 가치를 드러낸다. 묵시 12장은 선악의 이원론적 대립 개념을 묘사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묵시 12장이 묘사하는 악의 자리는 신앙인들이 진정한 승리자로서 거듭날 수 있는 하나의 기호로 작동하고 있음을 본고는 말하고자 한다.

In this thesis we first try to analyze the figure of the woman and the dragon in semiotic method to verify the figurative size in which the figure of the woman in Rev12 does not mean the anti-concept compared to the figure of the dragon but a fundamental basis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believers who are called as victors in the persecution. We also try to analyze the discursive stuructre of the dragon which is the other sign (ἄλλο σημεῖον) underlying the woman shows the place of the winner to which all believers are invited. If so, the evil Rev 12 described by the figure of the dragon is a necessary condition and a spiritual workshop for believers of the first century to live in socio-political persecution. The concept of dualistic opposition that is usually draw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e of the woman and the dragon does not work in the discursive structure of Rev12. The evil is a figure in which believer-winners are born.

들어가는 말

Ⅰ. 묵시 12장의 설화적 위치

1.1. “U” 형태의 설화적 흐름

1.2. 묵시 12장의 설화성에 대한 문제 제기

Ⅱ. 여인의 담론적 상황

2.1. ‘기호’로서의 여인: 여인에 대한 전통적 해석

2.2. ‘형상’으로서의 여인: 해석의 근원으로서의 여인

2.3. 여인과 사내아이

2.4. 여인이 겪는 해산의 고통

Ⅲ. 용의 담론적 상황

3.1. 용에 대한 전통적 해석

3.2. 실패의 형상인 용: 하느님백성의 공간을 향하여

3.3. 승리자의 등장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