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성을 강조한 동물존중교육의 적용과 의미
An application and implications of animal respect education focused on relationships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홀리스틱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 : KCI등재
- 2019.06
- 149 - 163 (15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존중교육의 새로운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낱생명’과 ‘보생명’의 상호의존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온생명론’을 동물존중교육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일어난 변화를 설문으로 진행했다. 온생명론을 적용하여 창안한 동물존중교육 프로그램인 ‘돼지의 보생명 그리기’를 통해 학생들은 인간과 돼지의 관계성을 자각했고 돼지를 음식이 아닌 생명체로 대해야 한다는 존중감을 표현했다. ‘온생명론’에 의하면 인간과 동물은 서로의 보생명이며, 온생명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모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상호의존성에 대한 자각은 타자에 대한 존중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온생명론’을 통한 생명의 이해와 생명을 유지해주는 많은 존재들과의 관계성을 일깨우는 교수-학습과정은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하다. 동물존중교육은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시작으로 동물도 고통을 느끼고 감정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동물의 생명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동물의 삶이 사회·문화·경제·정치 전반에 관계되어 있음을 알게 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넓은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알려주어야 한다. 향후 인간 사회에서 동물의 생태적 특성과 생명권이 배제되지 않도록 정밀한 연구 방법을 활용한 현장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다양한 동물존중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new way of animal respect education. The goal of animal respect education that the researcher explores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respect an animal as a living creature and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animals. The theory focused o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life and co-life was applied on the middle school. the possibility of theory in animal respect education applied to the class, after examining educational effects on the students. To confirm the change occurred in learners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performed. Through the drawing of pig’s co-life: the program of animal respect education created in the global life theory, learners express respect, thinking a pig’s life and living from a the point of it, recognizing a pig should be treated as a living thing like a human being.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if learners who are interested in animals and who sympathize the suffering of animals and animal welfare are educated on their lives, the goal toward the education to respect animals, ‘go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humans and animals’ can be achieved on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has discovered positive effects of the global life theory. Students were able to respect animals and reflect human society, after animal respect education based on co-life of the global life. However, it needs to be complemented by rigorous design of research methods.
Ⅰ.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