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회서비스원 설립 찬반 입장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 중에서 보육, 노인장기요양, 장애인활동보조, 정신보건서비스 분야의 종사자와 운영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원 설립과 관련하여 찬반입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서비스 설립 찬반 입장 차이는 종사자와 운영자 모두 사회서비스 공공성 확대에 대한 인식 및 사회서비스 질적 수준 향상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사회서비스원 설립 찬성의견이 높았고 종사자의 처우 개선에 대한 인식은 사회서비스원 설립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회서비스원이 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케어와 연계하여야 하며, 사회서비스원의 지역사회역할 정립이 필요하다. 사회서비스원의 설립목적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성 있는 인력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며 균형적으로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역할과 조력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조례나 규칙에 반영하여 사회서비스 공공성 확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establishing a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in order to expand social service publicness. And I would like to suggest a policy plan based on this. we conducted a biannu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pros and cons among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of the Gyeonggi province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for the workers and operators in the fields of child care,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assistance for disabled persons, and mental health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the employees and the operators have a positive opinio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a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service publicity expansion and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the social service quality improvement. The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of workers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establishment of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In order to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to faithfully carry out their original functions, they should be linked to community care. The role of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in the community should be clearly defined. In order to faithfully carry ou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professional manpower. In addition, these cont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bylaws and regulations so that the social service publicness can be continuously expanded.
요약
Ⅰ. 서론
Ⅱ. 사회서비스 공공성의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