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718.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역할 인식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A Study on gender role awarenes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 305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2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성역할 인식과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고, 성역할 인식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에 공개된 제12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 고, SPSS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 보면, 노인의 성역할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 인식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우울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평등적인 성역할 인식을 갖고 있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 지며, 우울이 낮아질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평등적인 성역할 인식,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과 이에 따른 가족관계의 양상변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through examining the effect of gender role awareness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gender role awarenes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4,957 Korean elderly from 2017 Korean Welfare Panel Data.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mediating effects analysis using SPSS 22.0.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role awar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dep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gender role awareness and depression need to be emphasized as a intervention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