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조직 구성원의 성과평가 공정성 지각, 직무 복잡도, 목표 지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A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among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Job Complexity, and Goal Orientations

  • 238

최근 직무와 성과를 중시하는 인사관리 실행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도입 과정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한국적 경영환경에 적합한 인사관리, 즉 임금체계를 비롯한 구성원 성과관리의 실행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부족했던 것이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한국적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인사관리의 실행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을 제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 성과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 주요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구성원 성과관리 실행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즉, IT 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성과평가 공정성이 목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직무 복잡도가 갖는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서울과 판교 테크노밸리에 위치한 IT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총 29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경로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성원이 지각하는 성과평가 공정성은 직무 복잡도와 목표 지향성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과평가에 대한 공정성이 확보될수록 직무 복잡도와 목표 지향성 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직무 복잡도는 목표 지향성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복잡도가 높은 직무를 추구하고 선호할수록 목표 지향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과평가 공정성이 갖는 목표 지향성에 대한 영향력은 직접효과 보다 직무 복잡도에 따른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직무 복잡도는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구성원에게 적절한 수준의 직무 복잡도가 부여될 경우, 성과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 식이 높아질수록 보다 목표 지향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조 직에서의 공정한 성과평가는 구성원으로 하여금 복잡한 직무 상황에서 도전적인 직무를 선호하게 하고 이를 성장과 학습의 기회로 받아들여 보다 목표 지향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조직이나 직무 상황에 적합한 도전적인 난이도의 업무를 적절하게 부여하는 것이 구성원 성과관리 실행의 효과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으로 연구의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ecently, social requirement and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which emphasizes job and performance, is growing in Korea.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annual compensation system for the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job and performance, in-depth discussion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cluding compensation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the Korean management environment, were lacked. This raises deep discussion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at effectively responds to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on goal orienta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complexity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296 employees who work in the field of IT service provid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has direct impacts on job complexity and goal orientations with stimulating both variables. Second, job complexity has positive impacts on goal orientations directly. Lastly,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has bigger indirect impacts on goal orientations job complexity as a mediator in comparison to direct impacts. Therefore, it turned out that job complexit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and goal orientations. From this results, it demonstrated that employees positive perception on performance evaluation makes them prefer more complicated and challenging jobs and tasks in their organizational circumstances. It also turned out that fair performance evaluation on employees enhances their changes as growth and learning opportunities and maximize their goals to achieve their goal under the complicated job situations. To sum 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t is important to give employees suitable jobs and tasks with challenging level of complexity in their job circumstanc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