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수직적 임금분산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pay dispersion and turnover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job grade and horizontal pay dispersion

  • 115

임금분산은 개인의 성과, 직무만족, 이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학술적·실무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술적으로 첫째, 임금분산 을 수직적·수평적 임금분산으로 구분하여 연구의 정교함을 향상시키고, 둘째, 이전 연구에서 미진하게 수행한 미시적 차원의 연구를 진행하고, 셋째, 수직적 임금분산과 이직 의도를 기대이론과 토너먼트 이론으로 설명하고 검증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수직적 임금분산과 직급단계 및 수평적 임금분산과의 상호작용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이전의 연구흐름과 달리 조직수준의 임금분산, 직급단계가 개인수준의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여 통계적 정교성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다수준 분석 결과, 수직적 임금분산은 이직의도와 부적 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사원급의 총급여와 부장급의 총급여의 배율이 큰 임금구조는 종업원들에게 임금의 유의성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직급단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수직적 임금분산, 직급단계(역수)는 이직의도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직적 임금분산과 직급단계(역수)의 상호작용항은 이직의도와 부적으로 조절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수직적 임금분산과 수평적 임금분산 간의 임금구조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이직의도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향후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있다.

Since pay dispersion is very closely related to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esearch on pay dispersion is very important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sophistication of the research by dividing the pay dispersion in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ay dispersion, second, to carry out the micro study which was carried out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ird, And the intention of turnover with the expectation theory and the tournament theory, and fourth, to develop and verify the interaction model between the vertical pay dispersion and job grade and horizontal pay dispersion. As a result of the multi-level analysis, vertical pay dispersion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turnover. Vertical pay dispersion and job grade(reciprocal)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urnover intention, an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vertical pay dispersion and job grade(reciprocal) showed the result of reduction for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y structure of vertical and horizontal pay dispersion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xpansion of vertical pay dispersion and to reduce the job grade in order to lower the employee s turnover intention in the actual pay desig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