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가족 친화경영,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조직시민행위 의향: 사회적 교환이론의 탐색적 적용
The perceived family friendly management and the willingness f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 한국인사조직학회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 2017.11
- 1 - 20 (20 pages)
본 연구는 근로자가 인지하는 가족친화경영, 공정성, 그리고 조직시민행위 의향 간의 관계를 사회적 교환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직의 가족친화경영은 조직-구성원간의 사 회적 교환관계를 향상한다는 개념을 가족친화경영에 대한 지각이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의향 (가설 1)과 절차와 상호작용공정성이 가족친화경영에 대한 지각과 조직시민행위의향과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가설 2)에 반영하였다. 분석모델에서는 독립변수인 가족친화경영을 시행제도 수와 활성도로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창원지역의 50인 이상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응답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소벨 테스트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비교적 예상한대로 가족친화경영의 지각이 조직시민행위의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절차와 상호작용공정성은 가족 친화경영활성도와 조직시민행위의향과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은 가족친화경영이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교환관계에 가깝다는 것을 실증하였다는 점과 가족친화경영시행제도수 보다는 가족친화경영활성도가 조직시민행 위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고 사회적 교환의 성격이 훨씬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고 있는 가족친화경영과 사회적 교환관계의 연계성 및, 가족친화제도도 입(제도수)과 실행(활성도)의 분리를 의미하는 디커플링 등은 매우 실험적인 주제이며 향후 진행되어야 하는 연구 방향이란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family friendly manage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willingness for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We made two hypotheses explaining the social exchange; One is the hypothesis explaining that the perceived family friendly management makes the positive impacts on the willingness for OCB, the other is the hypothesis explaining that the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friendly management and The willingness for OCB. Perceived family friendly management was measured by two components: The Number of family friendly HR Practices and activation extent of family friendly HR practices. We analyzed the surveyed data responded by the employees who work at the workplace has more than 50 employe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s of the perceived family friendly management on the willingness for OCB was significantly positive. Seco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the activation extent of family friendly HR practices and The willingness for OCB, but not on the relation the number of family friendly HR practices and the willingness for OCB. We confirmed social exchange model of family friendly management and discuss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서 론
연구 배경과 가설
연구 분석 방법
연구 결과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