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696.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해녀문화’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유산경영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eritage Management of ‘Culture of Jeju Haenyeo’

DOI : 10.52564/JAMP.2018.45.317
  • 1,047

제주해녀문화가 가지고 있는 공동체성, 자연친화적인 활동, 살아있는 유산이라는 점을 감안하면서 국제적으로 유산 관리에 있어 권고하고 있는 사항인 지속가능한 개발측면에서의 전승방향을 제시한다. 제주해녀문화는 제주지역의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어업활동을 해온 해녀들와 관련된 지식, 기술, 의례 등의 문화를 의미이다. 물질기술 및 민속지식, 신앙 및 의례, 해녀노래, 해신당 및 불턱, 물옷과 물질도구 등 해녀들이 어업활동을 하면서 창조해온 각각의 유‧무형 요소들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유‧무형 요소들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사회문화적 요소, 즉 해녀공동체와 공동체의 규율, 구조 등의 공동체 문화도 포함한다. 2015년에는 ‘제주해녀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에 지정되었고, 2016년에 ‘제주해녀문화’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며, 2017년에 ‘해녀’로 제주 지역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역을 범위로 하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승주체인 해녀수의 감소와 고령화는 제주해녀문화의 지속가능성에 가장 직접적인 위협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의 지정 종목에 대해 보유자 및 보유단체를 정해 전승토록 지원하고 있지만 제주해녀문화는 보유자·보유단체 없는 종목으로 기존의 정책과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제주해녀문화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전승은 경제적 및 사회적개발과 환경적 보호라는 세측면이 서로 긴밀히 연계되고 시스템으로 구축될 때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환경적으로는 마을어장이나 해안가의 경관 등 생태적 환경의 보호, 전승 공동체인 해녀들의 존속과 유지 하에서 경제적 측면에서는 제주해녀관련 문화산업의 육성, 사회적 측면에서는 제주해녀문화의 국내외로의 가치 확산이 필요하다. 또한 이 모든 것을 통합적 관점에서 경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ransmission direction accord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for ‘Culture of Jeju Haenyeo’, the living heritage. This study has difference from existing researches in that this is researched from a policy point of view to manage the Culture of Jeju Haenyeo as heritage. ‘Culture of Jeju Haenyeo’ refers to the culture of knowledge, skills and rituals and women divers who have lived based on the sea in Jeju. ‘Culture of Jeju Haenyeo’ include tangible‧intangible elements created from diving activities, such as diving skills and folk knowledge, a shamanic belief system, ‘Haenyeo Norae’(haenyeo song), cultural spaces, working tools and clothes, and customs of Haenyeo community. In 2015, ‘Jeju Haenyeo Fisheries System’ was designated as Korea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systems, in 2016 it was register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Haenyeo’ throughout Korea in 2017. The decline and aging of the haenyeo are the most threat factor for sustainability of ‘Culture of Jeju Haenyeo’.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s support the transmission of transmitter about the designated properties. In case of Haenyeo, however, it should be supported in a different way because Haenyeo didn’t registered as specific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above problems faced by ‘Culture of Jeju Haenyeo’,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e of Jeju Haenyeo’ focu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implied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is paper has drawn up management directions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e of Jeju Haenyeo’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 member of the transmission community, in three aspec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현황 및 분석

IV. 제 언

V.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