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석기시대 출토 인골로 보는 사회상

The excavation of the Neolithic site and its social situation

DOI : 10.35186/jkns.2019.37.41
  • 755

본 연구는 신석기시대에 확인된 인골 81개체와 29개群의 피장자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매장주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형질적 분석이 확인되는 인골 중 성별과 연령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지 않고 다양하게 확인된다. 이는 신석기시대의 유적들이 전쟁이나 질병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구성된 묘역이 아닌 것을 알 수 있었고, 생활유적의 범주에서 형성된 유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매장자세의 분석으로 신석기시대의 주된 자세는 신전장임을 알 수 있었으며, 굴장은 지역적 특색을 나타내는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볼 수 있었다. 비계측적 특징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신석기시대도 몽골리안의 범주에 속하는 집단으로 판단되며, 그들의 생활이 농경에 의지하는 사회가 아니라 수렵ㆍ채집ㆍ어로를 중심으로 한 사회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확인되는 부장품을 분석한 결과 청동기ㆍ철기 시대와 같이 계층이나 계 급의 분화가 보이지 않으며 유물이 위세품으로 부장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골자료가 많이 확인되는 신석기시대 전기 사회는 서비스(E. R. Service)가 말한 사회발전단계 중 무리사회(Band)로 추정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81 human bones and 29 buried people in the Neolithic era. Primarily, we analyzed the subjects who had been buried. We identified both sex and age of the human remains of which traits had been ascertained were various and assorted. It suggested that the Neolithic ruins belonged to the cultural sites rather than being created by exceptional occasions such as wars or diseases. The people of the Neolithic times were buried from entombment with extended burial which was found the most and we could infer that flexed burial would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Shovel-shaped teeth, enamel hypoplasia, dental calculus, and caries were studied through non metric cranial traits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non metric cranial traits analysis, it was assumed that the man from the Neolithic Age was also a member of the family of Mongolian group (the man from the Neolithic Age had similar ethnicity to Mongolian group) and it was shaped by hunter-gatherer context not farmer context. The analysis of burial accessories from the sites of the Neolithic ruins showed there was no differentiation of social stratification or class so that the relics of them did not seem to be entombed as items that reflected authority and powe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estimate the society of Neolithic site in Janghang was “Band” which E. R. Service named as one of the stages of social development.

Ⅰ. 머리말

Ⅱ. 신석기시대 인골 출토 유적 검토

1. 유적의 현황

2. 묘역의 분석

Ⅲ. 출토 인골에 대한 검토

1. 인골 출토 상태에 대한 분석

2. 형질적 분석

3. 부장품 분석

4. 상ㆍ하부 매장시설

Ⅳ. 인골분석으로 본 유적의 특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