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54.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헐외사시에서 비디오안구운동검사를 통한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안구편위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Ocular Deviations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 Using Video-oculography in Intermittent Exotropia

  • 13

목적: 간헐외사시환자에서 비디오안구운동검사를 이용하여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안구편위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7월부터 2018년 7월까지 간헐외사시로 진단된 환자 중 만 5세 이상, 스넬렌시력표로 나안시력 20/30, 교정시력 20/25 이상이며 양안 시력 차이가 1줄 이하인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를 50분 시각에 해당하는 1 m 거리의 전자 시표를 주시하게 한 뒤, 비디오안구운동검사를 이용하여 교대가림 동안 안구편위에 대한 비디오 파일 및 측정값을 얻었다. 이를 통해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안구편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14명의 연구 참여자의 평균 나이는 7.6 ± 1.7세(5-9)였으며, 7명은 우안이 우세안이었고, 6명이 남자였다. 비디오안구운동검사를 이용하여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안구편위의 변화를 보았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67). 또한 단안에서 외편위와 재주시 측정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244), 주시안과 비주시안이 외편위될 때 각각의 측정값과 재주시될때 각각의 측정값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95, p=0.637). 결론: 본 연구에서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안구편위의 변화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안구가 외편위되거나 재주시될 때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나안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굴절 이상 및 약시가 없는, 50프리즘디옵터 미만의 사시각을 가진 간헐외사시환자에서 사시각을 측정할 때 주시안과 비주시안 어느 눈 앞에 프리즘을 대어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measure and analyze ocular deviations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using video-oculography (VOG) in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Fourteen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intermittent exotropia from July 2017 to July 2018 with age of 5 or more, visual acuity of 20/30 or bet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of 20/25 or more and difference in vision of both eyes of 1 line or less on Snellen optotype were included. The subjects were asked to fixate on a black-on-white optotype at 1 m, which subtended a visual angle of 50 minutes of arc. The video files and data about ocular deviations were obtained using VOG with alternate cover test. We analyzed angles of ocular deviations i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Results: Among the 14 subjects in this study, the mean age were 7.6 ± 1.7 (range 5-9 years). Seven of 14 subjects had the right eye dominance. Six of the 14 subjects were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cular deviations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in VOG (p = 0.167).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values of VOG when one eye was exodeviated or re-fixated (p = 0.244), when both eyes were deviated, and when both eyes were re-fixated (p = 0.195, 0.637).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cular deviations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between when an eye was exodeviated or fixated using VOG. Therefore, it may not be a problem even if alternate prism cover test is performed in any eye in intermittent exotropia of more than 50 prism diopter without amblyopia or refraction abnormality that could affect the uncorrected visual acuity.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