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학교는 대구지역 인사들이 근대지식을 가르치고자 1899년 7월에 세운 학교였다. 달성학교의 운영은 실제 설립취지와 달리 일본인이 운영의 중심이 되어 일본어로 우리 민족에게 근대지식을 가르쳤다. 달성학교는 처음에는 심상 4년제로 시작하여 1902년 고등과가 생겨나 심상4년, 고등 2년제로 운영되었지만 고등과 학생은 많지 않았다. 학생은 성내 양반이나 중류층 이상의 자녀가 다녔으며 학생들의 나이도 입학 초기에는 18~22세였고 일시적으로 유년과가 생겨 입학 나이가 어려졌지만 연령과 학년이 일치하지 않았다. 졸업생은 일본군대, 유학, 토지측량기사, 철도회사, 통번역 등을 하여 일본의 세력확대에 기여하였다. 달성학교는 개화를 목적으로 우리 민족이 중심이 되어 설립하였지만 운영과정에서 일본의 의도를 간파하지 못하였고 일본제국주의 첨병이라는 동아동문회의 재정지원을 받음으로써 지역 정세 보고까지 하였다. 달성학교 실제 운영은 달성학교가 동아동문회에 보고한 자료가 그대로 남아있고 그 당시 다른 자료에서도 학교의 실체를 알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립취지서만 근거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한 중등교육기관이라 말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달성학교의 설립, 교원, 재정, 학습내용과 학생 등 다각적인 면에서 학교운영에 대한 실제를 연구하여 달성학교의 성격을 밝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Dalseong School was established in July, 1899 in order to teach the modern knowledge to local students by the local academics. The actual operation of Dalseong School, however, was done by the Japanese officials in Japanese language to Korean local students unlike the original intention of establishment. Dalseong School started as the 4 year-Shimsang school and then 2-year high school added, but there were not many students in the high school department. Majority of the students were from the families of intown upper and middle classes, the age band of the students was 18 to 22 years old. but the age and the grade did not coincide. The graduate of Dalseong School contributed to Japanese expansion through joining to Japanese army, architect and building company, railway companies and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Dalseong School was enlightenment and started by Korean academics, but Dalseong School did not understand the Japanese intention and even reported the local information to the Japanese government while receiving the financial aid by Dong-A Alumni Society, which was the frontier of Japanese Empire. Dalseong School was often known as the one of the first Korean national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 with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Intention Charter. The record of the actual operation of Dalseong School, however, remained in the Dong-A Alumni Society and other record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the evidence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Dalseong School through research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School by studying establishment, the students and teachers, finance and the curriculum in multiple anlges.
Ⅰ. 머리말
Ⅱ. 학교운영 : 한일 공동의 행·재정 지원
Ⅲ. 교육내용 : 일본어에 의한 보통학교육
Ⅳ. 학생 : 대구지역 중류층 자녀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