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08.jpg
KCI등재 학술저널

러시아 대중국 국경의 형성과 접경성

The Formation of the Border Line between Russia and China and Its Characteristics: The Nerchinsk-Kyakhta Border System

DOI : 10.18347/hufshis.2019.71.65
  • 394

본 연구의 목적은 청과 러시아 간에 맺어진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과 1727년 캬흐타 조약이 획정한 국경선의 위치와 그 특징 그리고 관리체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러청 국경선의 구체적 특징과 그 접경성을 확인하고, 중앙유라시아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국경이 유라시아 역사에서 갖는 의미를 규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네르친스크-캬흐타 조약체제를 통해 형성된 러청 국경선은 성장하는 두 제국의 팽창과 타협의 산물이었다. 이렇게 해서 서쪽 샤빈 다가바부터, 캬흐타, 아르군강, 고르비차강, 스타노보이산맥, 우다강 유역으로 이어지는 광대한 지역에 지속가능한 두 제국이 관리하는 국경선이 형성되었다. 샤빈 다바가에서 캬흐타 구간은 주로 사얀 산맥으로 이루어진 자연경계였고, 고르비차강에서 우다 강 유역은 실질적으로 완충지대였다. 따라서 두 제국의 소통은 주로 캬흐타-아르군 구간에서 이루어졌는데 특히 캬흐타가 두 제국의 다종적 간 접경공간의 기능을 담당했다. 전반적으로 네르친스크-캬흐타 국경체제는 소통보다는 경계를 통한 안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새로운 국경체제는 누구든 임의로 양국의 국경을 넘는 행위를 엄격히 규제했다. 특히 도주자의 경우 현장에서 사형에 처하도록 명시했고, 생계를 위한 월경이라도 엄격한 처벌을 규정했다. 이렇게 모든 월경은 국가 공식창구를 통한 허가가 있어야 가능했고, 카자크수비대와 몽골기병대가 국경의 감시를 담당했다. 그러나 국경을 유지하고, 기본적 소통을 위해 마련한 두 개의 접경공간 즉 러시아의 캬흐타와 청의 카운트 파트 마이마첸을 통해 유라시아 주민들이 새로운 접촉의 방식을 찾아갈 가능성은 열려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ystem of Russo-chinese border, which was defined by the Treaty of Nerchinsk in 1689 and the Treaty of Kyakhta in 1727. In this way, we can identify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Russ-chinese border and identify the meaning of the new border crossing the Central Eurasia in world history. The Russo-chinese border, formed through the Nerchinsk-Kyakhta treaty system, was the product of the expansion and compromise of two growing empires. Thus a border line managed by two sustainable empires was formed in a vast region of central Eurasia, from the Shabina pass in the West to Kyakhta, the Argun River, the Gorbitsa River, the Stanovoi Mountains and the Uda River Basin. The area between Shabina pass and Kyakhta was a natural border consisting mainly of the Sayan Mountains. The area from Gorbitsa River to Uda River Basin was practically a buffer zon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of the two empires was mainly carried out in the Kyakhta-Argun area, in particular Kyakhta performed the function of the interfaith space between multi-races of the two empires. Overall, the Nerchinsk-Kyakhta border system was aimed at security rather than communication. The new border regime strictly regulated the conduct of anyone across the borders of both countries. In particular, the treaty statement states that the escapees are to be put to death on the spot, and stipulates strict punishment for crossing the border for livelihood. All such activities across borders were possible only through the official permission from the state, and the Cossack Garrison and the Mongolian cavalry were responsible for the border surveillance. But it was open to the Eurasian people to find new contact zones through two border towns, Kyakhta in Russia and Maimachen in China in order to maintain the border and provide basic communication.

Ⅰ. 머리말

Ⅱ.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에 따른 국경 설정

Ⅲ. 1727년 캬흐타 조약에 따른 국경 설정

Ⅳ. 네르친스크-캬흐타 국경체계와 그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