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21.jpg
KCI등재 학술저널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푸드 코디네이터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Food Coordinator via Analyses of Big Data

DOI : 10.26433/TFCK.2019.14.2.21
  • 118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푸드 코디네이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푸드 코디네이터와 관련한 연관 검색어는 5년 마다 증가하는 폭이 컸으며, 이는 푸드 코디네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나타낸다. 검색어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2000년∼2010년에는 ‘일’, ‘직업’이라는 키워드의 빈도가 높았다. 2010년에는 ‘자격증’이라는 키워드가 등장하였다. 이는 해가 지날수록 푸드 코디네이터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관련한 직업을 갖고자 하는 수요가 높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연결중심성 분석 결과 ‘푸드 코디네이터’, ‘푸드 스타일리스트’의 순위가 높았고 그 외 ‘직업’, ‘음식’ 등의 순위가 꾸준히 상위권을 점하였다. 이는 푸드 코디네이터가 음식과 관련된 일을 하는 직업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음을 반증한다. 의미연결망 안에서 키워드들을 그룹화 시키기 위해 컨코(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업’, ‘음식’, ‘교육’, ‘연관 직업’, ‘전시’, ‘학문’ 등의 그룹으로 나눠졌다. 푸드 코디네이터와 관련한 관심이 직업에서 음식, 전시, 학문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푸드 코디네이터 영역을 전문화하고 확대시키 기 방안 모색이 다방면에서 필요하고, 국가차원에서 자격증을 위한 제도적 기준 마련 및 시행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at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food coordinators” by using big data. Studies have shown that terms associated with food coordinator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every five years, which shows increased interest in food coordinators.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of searched terms, the keywords “work” and “job” were frequent between 2000 and 2010. In 2010, the keyword “qualification” appeared. This is likely due to the growing interest in food coordinators over the years, as well as the high demand for related job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egrees centralit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keywords, the rankings of “food coordinator” and “food stylist” were high, while the rankings of “job” and “food” were consistently high. This indicates that food coordinators recognize that they work in cooking. A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to group keywords within the semantic network and was divided into groups such as “occupation”, “food”, “education”, “associated occupation”, “exhibition” and “study.” It indicates that interest in food coordinators is expanding from jobs to various fields such as food, exhibition and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seeking ways to specialize and expand the area of food coordinators is necessary in many ways, and that institutional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and implemented for certificates at the national level.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