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34.jpg
KCI등재 학술저널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와 성취기준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National Curriculum of New Zealand: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standard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 129

이 연구는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에서는 스트랜드 중심으로,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사회, 경제, 지리, 역사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심화 학습을 하도록 성취기준이 구성되어 있다. 둘째, 총론에는 핵심역량이 제시되나 과목별 목표 및 교과역량은 별도로 제시되지 않았다. 셋째, 형식적인 측면에서 성취기준의 수가 매우 적고 성취기준의 진술이 통일되어 있었다. 넷째, 성취기준에 제시된 내용의 범위와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수준이 높아질수록 내용의 범위가 확대되고 그 수준이 높아졌다. 특히 역사 영역의 경우, 역사적 사고력의 위계를 중심으로 수준별로 내용이 제시되어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였다.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교실 수준에서 교육과정 실행의 자율성이 높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and standards of the New Zealand s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level, standards are constructed by strands. In the high school level, standards are written according to the elective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economics, geography and history. Second, key competencies are presented in the whole curriculum, not by every subjects. Third,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curriculum of Korea and New Zealand in terms of the number of standards and the way they are presented. Forth, in case of history, the way of presenting standard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Korea. New Zealand s curriculum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very well. It also gives much freedom of teacher s curriculum implementation.

Ⅰ. 머리말

Ⅱ. 분석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