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공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공정성과 조직후원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Public Enterprises

간행물 정보
  • 이용수 372
148933.jpg

키워드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과 조직후원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 공공기관인 K-공기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공정성의 하위차원으로서 분배공정선성, 절차공정성 및 상호공정성은 모두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의 하위차원 중 상호공정 성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후원인식은 조직신뢰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혁신방안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조직공정성은 물론 구성원들의 조직후 원인식과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 등의 정서적인 공감대 형성이 반드시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본 연구를 통하여 공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지속적 발전을 위한 조직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의 중요 성을 다시 한 번 인식시키고, 공기업 조직의 혁신을 위한 전략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members of public corporations.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mployees of K-public enterprises, a leading public organization in Korea, to collect data and analyze the data to verify the hypothesis. Results, First, as a sub-dimension of organizational fairnes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Second, interactional justice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organizational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for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by public institutions to achieve substantial results, the formation of emotional consensus, such as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well as organizational justice,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public executives to achieve substantial results, emotional consensus such as organization fairness, organization sponsorship recogniti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must be prioritiz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for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public enterprises, and to suggest the strategic direction for innovation of public enterprise organiz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