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Developing Evaluation Method of Improving Sound Environment in Shelters in Disaster Situations

  • 36

대피소는 재난 등에 인한 피해자들이 일시적으로 대피, 거주하는 시설로 재난 발생 시 가장 기본적인 방재시설이다. 그러나 국내 대피소의 경우 지정, 관리 및 지원 등에 대한 대응이 미흡한 실적이다. 이에 대피소에서의 피난생활에 관한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 중 대피소의 실내환경의 각 영향요소 중 소리환경 개선을 위한 평가방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실내환경의 쾌적여부에 관한 기존연구는 실내요소에 대한 평가기준 및 모델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평가요소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대피소의 실내환경 각 영향요소 중 소리환경을 중심으로 재실자의 인식에 따른 정량적 분석 및 종합적 평가모델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노하라의 경관파악모델을 기본으로 소리경관 파악을 제시한 스기하라의 소리경관파악모델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지역의 경관과 소리경관을 조사하여, 경관을 구성하는 대상물과 소리경관을 구성하는 소리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리경관파악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피소의 실내환경의 평가모델의 개발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 shelter, a facility in which victims affected by disasters evacuate and temporarily reside, becomes the most fundamental facility for disaster prevention. Shelters in Korea, however, have responded poorly to designation, management and support. Among many problems of refugee life in shelter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valuation method for improving sound environment as a factor influencing indoor environment of shelters.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omfort of shelters examined criteria and models for measuring indoor factors by difference in perceptions, but few studies have comprehensivel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general evaluation and quantitative analytic model on residents perceptions, focusing on sound environment as a determinant of indoor environment of shelters. It examined landscapes and soundscapes in study area,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soundscapes by using Sugiyama s model of soundscape perception, and then tested the validity of the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ought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of indoor environment in shelters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소리환경 평가방법

Ⅳ. 카미노시마 지역 평가 결과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