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인제군 북면 일대 집중호우로 인하여 토사 및 유목이 유출되는 토석류가 발생하였다. 다수의 토석류 발생지 중에서 선정된 연구지역은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없어 토석류 발생현장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 지역의 DSM을 생성하여 토석류의 퇴적 면적 및 퇴적량, 경사도 분석을 통해 1:1500의 수치지형도와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지인 강원도 인제군 한계리 건천골에 발생한 토석류의 지형자료 구축을 위하여 24개의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s, GCP)을 획득하고, 측량정보인 Point cloud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계류지역의 토사 유출구로부터 확산 면적은 약 30,000 m² 이며, 유출구로부터 상류지역 300 m 까지 확대하여 측량된 면적은 34,000 m² 이다. 측량된 지역은 사진촬영을 통해 지형이 아닌 정보들은 필터링 후, 정사영상을 작성하였다. 생성된 정사영상과 DSM은 1:5000의 수치지형도에서 제작된 DEM과 비교분석을 하였다. 단면 추출을 통해 상시 흐름이 있는 계류지역의 침식 높이와 퇴적부의 평균 퇴적 심도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값을 이용하여 2006년 당시 발생한 토석류 확산부의 퇴적량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현장 사진과의 비교를 통하여 침식, 퇴적높이를 검증할 수 있었다.
In 2006, a number of debris flows occurred in Inje-gun, Gangwon-do, Korea, due to heavy rainfall. The selected study area from among the debris-flow sites was preserved because no loss of life or property damage occurred. In this study, a digital surface model (DSM) was generated using drones and compared with a 1:5000 digital map by analyzing the debris-flow fan area, debris-flow deposition volume, and slope. Twenty-four ground control points were acquired to build the terrain data of the study area, and the point-cloud data were obtained using drones. The debris-flow fan area from the outflow point was calculated to be 30,000 m² using the point cloud data, and the upstream area from the outflow point was calculated to be 34,000 m² . In addition, photographs were taken, the non-terrain information was filtered, and an orthophoto was created. The generated orthophoto and DSM were compared with the digital elevation model generated in the 1:5000 digital map. The erosion height of the torrent area and the deposition height were estimated. From the estimated value, the deposition volume of the debris-flow fan area was calculated. The calculated erosion/deposition height of the debris flow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field survey result and the photographs.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분석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