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은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오늘날의 경영 환경에서 기업들에게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우위 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능동적인 특성에 집중하였다. 즉, 변화 주도 성향과 자기 향상 동기를 기반으로 개인의 주도적 성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개인의 성격 특질 변수를 활성화 시켜주는 상황 요인으로 직무 특성을 고려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성 활성화 이론을 적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자율성과 피드백이 주도적 성격이 창의성에 미치는 정(+)의 효과를 강화 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더 나아가 주도적 성격과 자율성, 피드백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국내기업들을 대상으로 상사-부하 설문을 실시하여 총 158쌍의 응답을 실증 분석하였다. 동일 방법 편의를 제거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들에게 주도적 성격, 자율성, 피드백을 측정하였고,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성은 그들의 직속상사에 의해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주도적 성격을 가진 구성원일수록 창의적인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중 자율성은 주도적 성격과 창의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반면, 피드백은 가설에서 예측 했던 것과는 달리 주도적 성격과 창의성의 관계를 부(-)적으로 조절하였다. 보다 자세히 세 변수들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율성이 높고 피드백이 낮을 때 주도적 성격과 창의성의 정(+)적 관계가 가장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창의성 창출을 위한 능동적인 개인의 특성이 무엇이며, 이를 활성화시키는 경계 조건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창의성과 관련된 분야에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Creativity is critical for organizational survival and growth in the contemporary business environment, in which organizations must adapt to fast-changing markets.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proactive individual dispositions. Particularly drawing on personal initiative tendency and self-enhancement mo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individual creativity. This study also considered job characteristics as trait-relevant factors to activate personality expression. Specifically, based on trait-activation theory, the study predicts that autonomy and feedback strengthen the positive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also examining the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utonomy, and feedback on creativity. To prove these hypotheses, empi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158 employee-supervisor dyad samples collected from Korean companies. To avoid common method bias, employees were asked to rate their proactive personality, autonomy, and feedback, whereas their immediate supervisors were asked to rate the employees’ creativity. As predicted, individuals with high proactive personality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creative behaviors.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what was expected, autonomy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while feedback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The results of specific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show that the positive effects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are strongest when autonomy is high and feedback is low.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sults reveal proactive individual traits in promoting creativity and the boundary condition necessary to increase such behaviors. The study’s findings hav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creativity literature.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