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한 벤젠 누출사고 피해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nge of Damage Effects of Benzene Leakage Accidents using the KORA Program

  • 87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제4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벤젠을 대상 물질로 선정하여 항만시설의 하역 과정 에서 화재 및 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해 “독성(Toxic)”과 “액면화재(Pool fire)”에 대한 피해 규모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방법은 국내 화학물질안전원에서 범용프로그램으로 지원하는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벤젠의 화재 및 누출사고에 대한 피해영향 범위를 예측한 결과 독성으로 인한 피해 범위의 경우 누출공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대비 사고 피해영향 범위가 최대 5.11%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누출시간에 대한 피해영향 범위의 경우 누출시간 5 min 대비 10 min에서 145.12% 증가하 였으며 20 min에서는 212.29%로 증가하였다. 또한, 액면화재로 인한 피해의 경우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에서 복사열에 의한 피해영향 범위는 취급시설을 중심으로 반경 228.8 m로 나타났으며,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의 경우 복사열에 의한 피해영향 범위는 누출공의 크기가 배관 단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대비 사고 피해영향 범위가 최대 8.26%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nzene is a class 4 hazardous material according to the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Hazardous Substances. This study qualitatively evaluated the damage size of a “toxic” accident and “pool fire” accidents based on benzene in a virtual scenario of a fire and leakage accident during unloading at a port facility. The KORA program was used as an evaluation method, which is supported as a universal program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The range of damage effects of a benzene-induced fire and leakage accident was predicted. In the case of toxic damage range, the accident’s damage effect range for the “worst case scenario” was reduced by up to 5.11% with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leakage hole. In the case of the leakage time, the damage effect range increased to 145.12% with a 10 min leakage time compared to that of a 5 min leakage time and went up to 20 min (212.29%) with a 20 min leakage time. In the case of pool-fire-induced damage, the damage effect range by radiant heat in the “worst case scenario” was 228.8 m in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handling facility. In the “alternative scenario,” the damage effect range by radiant heat was reduced by up to 8.26% compared to that in the “worst case scenario” since the size of the leakage hole was decreased 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pe.

1. 서 론

2. 연구배경

3.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로딩중